井邑とは? わかりやすく解説

Weblio 辞書 > 辞書・百科事典 > 名字辞典 > 井邑の意味・解説 

井邑

名字 読み方
井邑いむら
名字辞典では、珍しい名字を中心に扱っているため、一般的な名字の読み方とは異なる場合がございます。

井邑

読み方
井邑いのむら
井邑いむら

井邑市

(井邑 から転送)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2025/07/13 15:53 UTC 版)

全北特別自治道 井邑市
位置
各種表記
ハングル: 정읍시
漢字: 井邑市
片仮名転写: チョンウプ=シ
ローマ字転写 (RR): Jeong eup-si
統計(2023年
面積: 692.8 km2
総人口: 103,620[1]
男子人口: 51,624 人
女子人口: 51,996 人
行政
国:  大韓民国
上位自治体: 全北特別自治道
下位行政区画: 1邑14面8洞
行政区域分類コード: 35040
井邑市の木: モミジ
井邑市の花: ハクモクレン
井邑市の鳥: ハト
自治体公式サイト: 井邑市
テンプレートを表示

井邑市(チョンウプし)は、大韓民国全北特別自治道の南部にある市である。南部を全羅南道と接しており、道境には紅葉で知られる内蔵山(ネジャンサン)や笠岩山(イパムサン)の山並みが広がる。井邑郡に古阜郡・泰仁郡が合併して井邑郡となり、さらに市となった。旧古阜郡は甲午農民戦争が起こった場所である。

歴史

城隍山から眺める井邑市街

井邑市・井州市

  • 1981年7月1日 - 井邑郡井州邑が市制施行し、井州市となる。
  • 1983年2月15日 - 井邑郡内蔵面および所声面・徳川面・北面の各一部を編入。
  • 1989年1月1日 - 井邑郡笠岩面の一部を編入。
  • 1995年1月1日 - 井州市・井邑郡が合併し、井邑市が発足(1邑14面)。
  • 1996年 - 所声面の一部が上坪洞に編入(1邑14面)。

井邑郡

  • 1914年4月1日 - 郡面併合により、井邑郡・泰仁郡および古阜郡の一部(白山面・巨麻面・徳林面を除く)・興徳郡の一部が合併し、井邑郡が発足。井邑郡に以下の面が成立。(19面)
    • 井邑面・北面・内蔵面・笠岩面・所声面・古阜面・永元面・徳川面・梨坪面・雨順面・浄土面・泰仁面・宝林面・龍北面・甘谷面・瓮東面・七宝面・山内面・山外面
朝鮮総督府令第111号
変更前 変更後(井邑郡)
井邑郡郡内面상리/중사리 일부/(東面)신흥리 일부/쌍암리 일부、수성리/서내리/상구리/하구리/두산리/동내리 일부/서외리 일부/(北面)장곡리 일부/어동리、시기리/수침리/광교리/서중리/미동리/중사리 일부/(東面)종산리 일부、연지리/죽지리/서외리 일부、입석리/씨교리/장명리/상경리/하경리/입모리/동내리 일부 井邑面 상리、수성리、시기리、연지리、장명리
井邑郡西二面효죽리/농소리 일부/하평리 일부/(북면)하마리 일부/기영리 일부/(고부군 소정면)신기리 일부/복룡리 일부/(고부군 우덕면)효죽리 일부、삼산리/신흥리/중리/내동리/연기리/쌍계리/자로리 일부/(남일면)과교리 일부、당고리/서기리/삼거리/상평리/산우리/향지리/성재리/칠정리 일부/(고부군 소정면)와룡리 일부/향자리 일부、용흥리/월천리/상모리/하모리 일부/(고부군 소정면)공평리 일부 농소리、삼산리、상평리、하모리
井邑郡南一面신계리/백운동/구계촌/월암리/낙포리/고안리 일부/과교리 일부/궁계리 일부/(서이면)칠정리 일부、영정리/화산리/삼군리 일부/궁계리 일부/(서일면)서암리 일부/(남이면)제내리 일부/(서이면)자로리 일부/진산리、석고촌/구암리/부상리/교동리/삼거리/계화리/내지리/외지리/고안리 일부/반암리 일부/삼군리 일부、죽리/월성리/칠성리/구정리/신성리、와룡리/현월리/신정리/부암리/석산리/신촌리/남성리/동리/반암리 일부/(남이면)부귀촌 일부/오목동 일부/신정리 일부 과교리、진산리
内蔵面 교암리、신월리、용산리
井邑郡東面금북리/붕래동/대사동/석교촌/신흥리 일부/쌍점리 일부、회룡리/저동리/호항리/용하리/비룡리/동구리/내장리/부여리 일부、부전리/서암리/옹동리/부무리/백석리/덕동리/운암리/운두리/개운리/피오리 일부、송암리/송학리/월봉리/종산리 일부/쌍점리 일부、월영리/죽림리/송정리/용암리/귀암리/답곡리/부여리 일부 금붕리、내장리、부전리、송산리、쌍암리
井邑郡北面외산리/구양리/용호리/신기리/신성리 일부、복용리/대흥리/우탄리/와룡리/장구리、신점리/승부리 일부/한교리 일부、신평리/산현리/어옹리/신성리 일부/양천리 일부/승부리 일부/궁산리 일부/한교리 일부、신흥리/태곡리 일부/사거리 일부/궁산리 일부/(태인군 서촌면)태곡리 일부、구평리/기동리/사거리 일부/궁산리 일부/한교리 일부/양천리 일부/승부리 일부 北面 구룡리、복흥리、승부리、신평리、태곡리、한교리
井邑郡南二面등천리/장좌리/신령리/신등리 일부/평암리 일부/(서일면)수월리 일부/연동리 일부/군령리/백연리、봉암리/신기촌/구면리 일부/신면리 일부/송정리 일부/만화리 일부/(서일면)성신리 일부/선암리、서촌리/동촌리/구정리/금구촌/평점리/간등리/전지리/관동리/삼성동/월치리/오목동 일부/신정리 일부/부귀촌 일부、석계리/접지리/제내리 일부/송정리 일부/구면리 일부/(서일면)신평리/진목리、상부리/하부리/만화리 일부/평암리 일부/신면리 일부/(서일면)천원리 일부/신등리 일부 笠岩面 등천리、신면리、신정리、접지리、하부리
井邑郡西一面월천리/단곡리/내기리/단촌리/성신리 일부/양지촌 일부/엄동리 일부/안양동 일부/천원리 일부、신기리/마석리/양동리/비룡촌/서암리 일부、월산리/운월리/월곡리/수월리 일부/연동리 일부、영안리/서점리/옹암리/천원리 일부/양지촌 일부 단곡리、마석리、연월리、천원리
興徳郡二東面장산리/태동/태산리/어룡리/은행리/지선리 지선리
古阜郡南部面상평리/하평리/남산리/외남리/허문리 일부/남정리 일부/(동부면)허문리 일부、작산리/관청리/기동/신기리/송정리 일부/(서부면)송정리/청룡리/구고리、영광리/남정리 일부/허문리 일부/남복리 일부、안영리/덕안리/진선리/육선리/회동 일부/진장리 일부/입석리 일부、토정리/신정리/분토리/신화리/만화리 일부/신중리 일부/(서부면)서고리、해항리/학항리/탑동/신룡리/앵등리/남흥리/운흥리/(동부면)발입리 일부、신장리/성촌/입석리 일부/진장리 일부/만화리 일부 古阜面 고부리、관청리、남복리、덕안리、만화리、용흥리、입석리
古阜郡西部面용등리/강고리 일부/종암리 일부/마항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백운리/구룡리/용수리/반룡리/노승리/용출리/초하리/서룡리/화산리 일부/중리 일부/(성포면)금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양협리 일부、죽교리/주산리/강고리 일부/(남부면)신중리 일부/구중리、용회리/파산리/도산리/홍원리 일부/(남부면)송정리 일부/서흥리 일부/(부안군 입상면)영수리 일부/진영동 일부/(부안군 건선면)율지리 일부 강고리、백운리、신중리、신흥리
古阜郡北部面흔랑리/미전리 일부/앵성리 일부/덕성리 일부/(덕림면)신광리 일부/대흥리 일부/인천리 일부/표정리 일부、금곡리/학송리/서당리/태동/신평리/운학리、갈선리/두만리/신탑리/탑립리/모산리/지사리/은선리、신성리/주천리/덕성리 일부/미전리 일부/(궁동면)장재리 일부/백양리 일부/청량리 일부/(거마면)쌍교리 일부 永元面 앵성리、운학리、은선리、장재리
古阜郡東部面신영리/은동/발입리 일부/부지리 일부、청용리/음지리/등전리/양지리/월천리/장문리/허문리 일부/(남부면)남복리 일부、연지리/풍촌 일부/월현리 일부/(서부면)홍원리 일부/(덕림면)율포리 일부、효죽리/가납리/후지리/용동/신기리/부지리 일부/풍촌 일부/(북부면)효문리 신영리、장문리、풍월리、후지리
古阜郡所井面복룡리 일부/신기리 일부/공평리 일부/(정읍군 서이면)하평리 일부/하모리 일부/농소리 일부、등계리/내기리/대동、상만리/하만리/주안리/서당리 일부、구암리/신덕리/상흑리/성동/금구리/용계리 일부/정문리 일부/하흑리 일부/공평리 일부/(우덕면)대암리 일부、주동/반월리/향자리 일부/와룡리 일부/대마리 일부、광산리/중광리/소원리/(성포면)원청리/상정리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작천리 일부、신흥리/흑암리/하흑리 일부/정문리 일부/용계리 일부 所聲面 공평리、등계리、만수리、용계리、주천리、중광리、흑암리
古阜郡聲浦面소교리/대고리/대석리/석우리/주정리/신연리/재경리/양천리/연동 일부/화룡리 일부/저동 일부/(남부면)회동 일부/(서부면)종암리 일부/(소정면)서당리 일부、후천리/기린리 일부/원두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조동 일부、보화리/와석리/원두리 일부/하정리 일부/계동 일부/입석리 일부/(소정면)춘수리 일부/(흥덕군 일동면)금평리 일부/와석리 일부、봉양리/필동/정동/율치리/당산리/문동/안양리/(정읍군 서일면)안양동 일부/엄동리 일부/(흥덕군 일동면)용전리 일부、신천리/삼거리/저동 일부/(소정면)부안리 일부/춘수리 일부/서당리 일부、막촌/계화리/죽동/애당리 일부/두암리 일부/용산리 일부/작천리 일부/(흥덕군 이동면)은동 일부/죽동 일부、기동/외동리/상정리 일부/하정리 일부/용산리 일부/대안리 일부/입석리 일부/계동 일부/(소정면)신광리 일부、산교리/전곡리/구생리/용전리/화룡리 일부/금동리 일부/연동 일부 고교리、기린리、보화리、봉양리、신천리、애당리、용정리、화룡리
古阜郡畓内面월평리/금학리/덕정리/한교리/도계리/신장리 일부/산매리 일부、포용리/운전리/황전리/국정리/창전리 일부/두전리 일부/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궁동면)석지리 일부、두지리/무릉리/도원리/상신리/중신리/하신리 일부/현동 일부/화랑리 일부/평령리 일부/(오금면)오신리 일부、연화리/석전리/마항리 일부/금반리 일부/창전리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돈지리/장춘리/산신리/산매리 일부/한수리 일부/(궁동면)신송리 일부、팔선리/석정리/용전리/서산리 일부/현동 일부/예동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세곡리/지지리/평령리 일부/한수리 일부/화랑리 일부/(궁동면)지지리 일부、목교리/예동 일부/상송리 일부/하송리 일부/서산리 일부 梨坪面 도계리、두전리、두지리、마항리、산매리、팔선리、평령리、하송리
古阜郡宮洞面송곡리/장내리/사거리/월산리 일부/석지리 일부/(답내면)금반리 일부/(거마면)소수리 일부/월상리 일부、송산리/소송리/광사리/주산리/신송리 일부、신월리/연지리/도천리/궁월리/청량리 일부/백양리 일부 장내리、창동리、청량리
古阜郡優徳面천곡리/동곡리/부례리/내오리/외오리/수침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대암리 일부/(우일면)석교리 일부/(소정면)복룡리 일부、상학리/학전리/동죽리/용곡리/학림리/하학리 일부、용전리/시목리/배장리/연촌/쌍정리/내촌/두지리/만종리/(우일면)송덕리 일부、중학리/장문리/신복리/가정리/하학리 일부/(답내면)신장리 일부 徳川面 망제리、상학리、우덕리、하학리
古阜郡達川面야리/용두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우덕면)제우리、신월리/삼봉리/쌍봉리/부정리/송산리/영달리 일부/산우리 일부/(우덕면)신기리 달천리、신월리
古阜郡 우일면(雨日面) 오산리/점촌/분토동/원당리/두현리/단촌/이문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야리 일부/유대리 일부/송덕리 일부、가곡리/석교리 일부/송덕리 일부/(정읍군 북면)방하리 일부/기산리 일부/효죽리 일부/신정리 일부/수침리 일부、성동/내기리/도찬리/남산리 일부、화야리/가전리/순목리/조동/부동/마동/한교리/(정읍군 북면)한교리 일부 雨順面 남산리、대산리、영파리、우일리、화해리、
古阜郡長順面시동/송배리/비선리/서당리/소산리/사포리 일부/원두리 일부/사거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남산리 일부、송내리/신기리/양지리/내장리/후복리/외장리 일부/천덕리 일부/망담리 일부、장재리/석만리/영춘리/여정리/산정리/석거리/연동/화복리/상학리 일부/사포리 일부/사거리 일부/원두리 일부/(정읍군 북면)사거리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서재리 일부、창납리/연봉리/연지리/신성리 일부/천덕리 일부/외장리 일부/망담리 일부/(우일면)유대리 일부/(수금면)좌두리 일부 우산리、장순리、장학리、초강리
古阜郡伐未面배양리/대사리/마동/(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산북리/소사리/삼산리/(수금면)대정리/신복리 일부/삼동 일부/(답내면)예동 일부/(태인군 북촌면)이리 일부/상삼리 일부/오리 일부、덕성리/화천리 일부/덕촌 일부/(태인군 서촌면)주산리 일부、괴동/와룡리/신기리/정토리/회룡리 일부/(수금면)규촌 일부 浄土面 대사리、산북리、화천리、회룡리
古阜郡水金面신흥리/월성리/삼동 일부/좌두리 일부/야리 일부/규촌 일부/(오금면)각목리 일부/(장순면)신성리 일부 수금리
古阜郡梧琴面오정리/대양리/양지리/대동/각목리 일부/오신리 일부/(우일면)야리 일부/(수금면)신복리 일부/(답내면)하신리 일부 오금리
泰仁郡郡内面구오리 일부/육리 일부/십일리 일부/거산리 일부/(동촌면)신성리 일부/정동리 일부、백산리/장동/원동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장수동/(북촌면)일리 일부、사창리 일부/사리 일부/육리 일부/칠리 일부/십리 일부/십일리 일부、신기리 일부/용정리 일부/청석동 일부/오리 일부/육리 일부/십리 일부/십일리 일부/거산리 일부/내이리 일부/(고부군 벌미면)덕촌 일부/화천리 일부/회룡리 일부、홍문리/쌍갈리 일부/사리 일부/오리 일부/칠리 일부/거산리 일부 泰仁面 거산리、백산리、태성리、태창리、태흥리
泰仁郡仁谷面왕림리/서주동/고천리/관동/녹동/(군내면)쌍갈리 일부/(옹지면)소일리 일부、구정리/박동리 일부/박서리 일부/(흥천면)궁서리 일부/(군내면)원동 일부/천오리 일부/여율리 일부、상증리/하증리 고천리、박산리、증산리
泰仁郡興天面강삼리/궁사리 일부/외신리 일부/외이리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군내면)원동 일부/(북촌면)일리 일부/구사동 일부/(고부군 벌미면)강신리 일부、내이리 일부/외이리 일부/외신리 일부/낙양리 일부/용정리 일부/하일리 일부/(군내면)신기리 일부、천신리/왕천리/하일리 일부/(인곡면)박동리 일부/박서리 일부/낙양리 일부/(군내면)신기리 일부/천오리 일부/청석동 일부 궁사리、낙양리、오봉리
泰仁郡龍山面신덕리 일부/화호리 일부/정자리 일부、대촌리/두동/괴동 일부/양촌리 일부/장군리 일부/(북촌면)신흥리 일부/(고부군 답내면)두전리 일부、장군리 일부/육동 일부、정천동/상서동/신곡동/청당리/(김제군 부량면)신평리 일부、화호리 일부/정자리 일부/신덕리 일부 龍北面 신덕리、양괴리、육리、청천리、화호리
泰仁郡北村面일리 일부/이리 일부/구사동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표천리/상삼리 일부/하삼리 일부/사리 일부/구사동 일부、제용리 일부/신흥리 일부/(용산면)우항리 일부/괴동 일부/양촌리 일부、점촌리/사리 일부/요동 일부/오리 일부、오리 일부/하삼리 일부/신흥리 일부/제용리 일부/(용산면)우항리 일부 구석리、삼천리、신용리、연정리、우령리
泰仁郡西村面구사리/복호동/성재동 일부/주산리 일부/서재리 일부/분동 일부/(고부군 벌미면)덕촌 일부/(고부군 장순면)상학리 일부 宝林面 태서리
泰仁郡南村二辺面마정리/연지동/평촌리 일부/오류촌 일부/(서촌면)태곡리 일부/월천리/(정읍군 북면)태곡리 일부、가정리/상유리/하유리/입점리/구곡리/평촌리 일부/(남촌일변면)남기리 일부、중산리/하삼리/상산리 일부/분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고현내면)삼리 일부、오류촌 일부/상산리 일부/장재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덕두리 일부/장재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고현내면)이리 일부/삼리 일부 마정리、보림리、매계리、오류리、태남리
泰仁郡南村一辺面동막리/옥촉리/여암리/벌수리/광신리/(고현내면)만궁리 일부/세유리/사리/진종리/백화리、상일리/중일리/제내리/백암리/축촌리/석정리 일부/(고현내면)이리 일부/삼리 일부/(동촌면)칠전리 일부/(남촌이변면)덕두리 일부/원두리/사제리、석정리 일부/남기리 일부 七宝面 반곡리、백암리、수청리、축현리
泰仁郡古県内面은석리/원촌리 일부/동촌리 일부/육리 일부/도산리 일부/(남촌일변면)삼리 일부/구제리 일부/구동、행단리/복호리/상오리/하오리/동변리 일부/원촌리 일부/만궁리 일부/(남촌일변면)삼리 일부/흥이리、명천리/도산리 일부/육리 일부/원촌리 일부 무성리、시산리、와우리
泰仁郡山内一辺面상탄리/용강리/하두리/사교리/상신리/영동 일부/상두리 일부/(산내이변면)용운리 일부、내목리/외목리/양하동/마시동/상두리 일부、여우리/하쌍리/원전리/(임실군 하운면)여우치 일부、백운동/백여리/묵동/종성리/백학동/안성리/상이리/하이리/황토리/황학동/(산내이변면)청동 일부/용운리 일부 산내면 두월리、목욕리、종산리、종성리
泰仁郡山内二辺面대능리/용암리/능교리/문수리/상허리/하허동/구복리/감곡리、매죽리/진삼동/용운리 일부、원덕리/상례동/하례동、시동/종암리/신기리/평내리/백필리/청동 일부/사리 능교리、매죽리、예덕리、장금리
泰仁郡山外一辺面상지리/하지리/동곡리/용두리 일부/평동 일부、주곡리/야정리/공동/이치리/신배리/신암리、사평리/하성리/신천리/평동 일부/용두리 일부/(산외이변면)운전리/노은리/척곡리 山外面 동곡리、오공리、평사리
泰仁郡山外二辺面구장리/만병리/만헌리/진계리 일부/(산내일변면)상두리/가야리、정량동/도화동/내능리/민하동/능암리/안계리、상엄리/하엄리/죽동/화정리/무릉리/산내리/하내리/녹동/당곡리/진계리 일부 상두리、정량리、화죽리
泰仁郡甘山面계봉리/대삼리/신삼리/사리 일부/반룡리 일부/소이리 일부/(금구군 수류면)구암리 일부、오리/육리/칠리/반곡리/과신리/팔리 일부/대구리 일부/소구리 일부/반룡리 일부 甘谷面 계룡리、통석리
泰仁郡師谷面삼평리/북리 일부/하송리 일부/(금구군 남면)만복리 일부、원방리/상곽리 일부/원중리 일부/원당리 일부/북리 일부、상송리/하곽리/산전리/회룡리/하송리 일부/소칠리 일부/상곽리 일부/(상촌면)요동 일부、오주리/원중리 일부、유수리/정가리/고잔리/옥단동 일부/원당리 일부/원중리 일부/북리 일부/(은동면)명당리 일부 삼평리、승방리、용곽리、오주리、유정리
泰仁郡銀洞面소사리/신기리 일부/(감산면)팔리 일부/대구리 일부/소구리 일부/(사곡면)신감리 일부、소일리/이리/삼리/명당리 일부/점촌 일부/(사곡면)옥단동 일부/천곡리、산직촌/대사리/신흥리/진교리/점촌 일부/(군내면)여율리 일부、일리/신기리 일부/(감산면)소이리 일부/반룡리 일부/(사곡면)신감리 일부/회암리 대신리、방교리、진흥리、화봉리
泰仁郡瓮池面와룡리/덕교리/저삼리/상기리/(동촌면)노삼리、금상리/일리/사리/두오리 일부/소일리 일부/시목리 일부、송월리/용이리/호동/소일리 일부、석육리/성칠리/외칠리/시목리 일부/내칠리 일부/두오리 일부/(동촌면)매당리 일부 瓮東面 상산리、오성리、용호리、칠석리
泰仁郡東村面내동리/적천리/정동리 일부/매당리 일부/신성리 일부/삼리 일부/(옹지면)내칠리 일부、수약동/구암리/수천리/후당리/화장동/두곡리 일부/노탄리 일부/(고현내면)도산리 일부、행정리/노탄리 일부/삼리 일부/칠전리 일부/두곡리 일부/정동리 일부/(고현내면)원촌리 일부/(남촌일변면)신제리 일부 매정리、비봉리、산성리
  • 1930年12月26日 - 井邑面が井州面に改称。[2](19面)
  • 1931年4月1日 - 井州面が井州邑に昇格。[3](1邑18面)
  • 1935年3月1日 - 行政区域の見直し。[4](1邑16面)
    • 浄土面および雨順面の大部分をもって浄雨面を設置。
    • 雨順面の残部が北面に編入。
    • 宝林面を廃止し、北面・泰仁面に分割編入。
    • 龍北面が新泰仁面に改称。
  • 1940年11月1日 - 新泰仁面が新泰仁邑に昇格。[5](2邑15面)
  • 1973年7月1日(2邑15面)[6]
    • 浄雨面の一部が梨坪面に編入。
    • 山内面の一部が山外面に編入。
  • 1981年7月1日 - 井州邑が井州市に昇格・分離。[7](1邑15面)
  • 1983年2月15日(1邑14面)[8]
    • 内蔵面および所声面・徳川面・北面の各一部が井州市に編入。
    • 所声面の一部が笠岩面に編入。
    • 泰仁面の一部が新泰仁邑に編入。
  • 1987年1月1日 (1邑14面)[9]
    • 山内面の一部が任実郡江津面に編入。
    • 高敞郡星内面の一部が所声面に編入。
    • 浄雨面の一部が北面に編入。
    • 甘谷面の一部が新泰仁邑に編入。
    • 梨坪面の一部が徳川面・永元面に分割編入。
  • 1989年1月1日 (1邑14面)[10]
    • 笠岩面の一部が井邑市に編入。
    • 浄雨面の一部が北面に編入。
  • 1990年4月1日 - 泰仁面の一部が北面に編入。(1邑14面)
  • 1995年1月1日 - 井邑郡が井州市と合併し、井邑市が発足。井邑郡消滅。[11]

行政

行政区域図

行政区域

行政洞・邑・面 法定洞・法定里
水城洞朝鮮語版 水城洞、下北洞
長明洞朝鮮語版 長明洞、上洞、九龍洞
内蔵上洞朝鮮語版 上洞、琴朋洞、松山洞、夫田洞、双岩洞、内蔵洞
市基洞朝鮮語版 市基洞
楚山洞朝鮮語版
蓮池洞朝鮮語版 蓮池洞
農所洞朝鮮語版 農所洞、暎波洞、黒岩洞、龍渓洞、公坪洞、望帝洞
上橋洞朝鮮語版 下茅洞、上坪洞、科橋洞、三山洞、辰山洞、新月洞、龍山洞、校岩洞、新井洞
新泰仁邑朝鮮語版 九石里、新泰仁里、蓮汀里、牛嶺里、新龍里、陽槐里、六里、清泉里、新徳里、禾湖里、柏山里
北面朝鮮語版 南山里、宝林里、馬亭里、承富里、台谷里、花海里、漢橋里、新平里、伏興里、長鶴里
笠岩面朝鮮語版 丹谷里、登川里、摩石里、鳳陽里、新綿里、蓮月里、接芝里、芝仙里、川原里、下富里、大興里
所声面朝鮮語版 古橋里、麒麟里、登桂里、普化里、新川里、艾堂里、龍井里、酒川里、中光里、化龍里
古阜面朝鮮語版 江古里、古阜里、官清里、南福里、徳安里、万寿里、万化里、白雲里、新中里、新興里、龍興里、立石里、長文里
永元面朝鮮語版 新永里、鶯成里、雲鶴里、隠仙里、長才里、豊月里、後池里
徳川面朝鮮語版 達川里、道渓里、上鶴里、新月里、優徳里、下鶴里
梨坪面朝鮮語版 斗田里、斗池里、馬項里、山梅里、梧琴里、長内里、滄東里、青良里、八仙里、平嶺里、下松里
浄雨面朝鮮語版 大寺里、垈山里、山北里、水金里、牛山里、宇日里、長順里、楚江里、花川里、回龍里
泰仁面朝鮮語版 居山里、高川里、弓四里、洛陽里、梅渓里、朴山里、五柳里、五峰里、甑山里、泰南里、泰西里、泰成里、泰昌里、泰興里
甘谷面朝鮮語版 桂龍里、大新里、芳橋里、三坪里、勝芳里、五舟里、龍郭里、儒丁里、真興里、通石里、花峰里
瓮東面朝鮮語版 梅井里、飛鳳里、山城里、象山里、五成里、龍虎里、七石里
七宝面朝鮮語版 武城里、盤谷里、白岩里、水清里、詩山里、臥牛里、杻峴里
山内面朝鮮語版 梅竹里、礼徳里、斗月里、菱橋里、宗聖里、長錦里
山外面朝鮮語版 東谷里、平沙里、花竹里、宗山里、象頭里、沐浴里、貞良里、五公里

警察

消防

  • 井邑消防署

交通

鉄道

高速道路

気候

  • 最高気温極値37.5℃(1990年8月7日)
  • 最低気温極値-20.0℃(1974年2月26日)
  • 過去最深積雪61.0cm(1981年1月3日)
井邑市の気候
1月 2月 3月 4月 5月 6月 7月 8月 9月 10月 11月 12月
最高気温記録 °C°F 18.5
(65.3)
21.7
(71.1)
27.3
(81.1)
31.0
(87.8)
34.1
(93.4)
34.2
(93.6)
37.3
(99.1)
38.4
(101.1)
35.0
(95)
30.7
(87.3)
27.6
(81.7)
19.6
(67.3)
38.4
(101.1)
平均最高気温 °C°F 4.5
(40.1)
7.1
(44.8)
12.7
(54.9)
19.3
(66.7)
24.5
(76.1)
27.9
(82.2)
30.3
(86.5)
31.1
(88)
26.9
(80.4)
21.3
(70.3)
14.2
(57.6)
6.9
(44.4)
18.9
(66)
日平均気温 °C°F −0.2
(31.6)
1.7
(35.1)
6.4
(43.5)
12.4
(54.3)
18.0
(64.4)
22.2
(72)
25.7
(78.3)
26.1
(79)
21.4
(70.5)
15.1
(59.2)
8.6
(47.5)
2.1
(35.8)
13.3
(55.9)
平均最低気温 °C°F −4.4
(24.1)
−2.9
(26.8)
1.0
(33.8)
6.4
(43.5)
12.2
(54)
17.5
(63.5)
22.2
(72)
22.3
(72.1)
16.9
(62.4)
9.8
(49.6)
3.7
(38.7)
−2.2
(28)
8.5
(47.3)
最低気温記録 °C°F −19.8
(−3.6)
−20.0
(−4)
−10.9
(12.4)
−4.2
(24.4)
2.4
(36.3)
8.5
(47.3)
13.1
(55.6)
11.6
(52.9)
5.6
(42.1)
−1.5
(29.3)
−10.4
(13.3)
−15.2
(4.6)
−20.0
(−4)
降水量 mm (inch) 36.5
(1.437)
39.0
(1.535)
56.0
(2.205)
82.5
(3.248)
87.2
(3.433)
136.1
(5.358)
284.0
(11.181)
298.1
(11.736)
148.5
(5.846)
61.0
(2.402)
55.6
(2.189)
45.3
(1.783)
1,329.8
(52.354)
平均降水日数 (≥0.1 mm) 9.9 7.6 8.6 8.3 8.8 9.5 14.3 14.4 9.1 6.6 8.5 10.9 116.5
湿度 73.2 67.9 64.2 61.5 63.8 70.9 77.1 76.6 75.0 71.7 71.5 73.1 70.5
平均月間日照時間 138.2 159.0 197.0 215.3 227.3 176.1 152.9 168.9 179.9 190.6 151.4 131.4 2,088
出典:韓国気象庁 (平均値:1991年-2020年、極値:1970年-現在)[12][13]

名所

井邑忠烈祠
忠烈祠と石像
  • 内蔵山国立公園
  • 内蔵寺

出身著名人

脚注

  1. ^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行政安全部. 2024年1月3日閲覧。
  2. ^ 전라북도령第26号(1930年12月26日
  3. ^ 朝鮮総督府令第103号(1930年12月29日)
  4. ^ 전라북도령第1号(1935年1月30日
  5. ^ 朝鮮総督府令第221号(1940年10月23日
  6. ^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1973年3月12日
  7. ^ 法律第3425号 光陽市等市設置及び郡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法律(1981年4月13日
  8. ^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の名称変更に関する規定(1983年1月10日)第5条
  9. ^ 大統領令第1200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1986年12月23日
  10. ^ 大統領令第12557号 市・郡・自治区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1988年12月22日
  11. ^ 法律第4774号 京畿道南楊州市等33個都農複合形態の設置などに関する法律(1994年8月3日
  12.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정읍(245)”. 韓国気象庁. 2021年3月25日閲覧。
  13. ^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정읍(245)”. 韓国気象庁. 2021年10月2日閲覧。

外部リンク



英和和英テキスト翻訳>> Weblio翻訳
英語⇒日本語日本語⇒英語
  

辞書ショートカット

すべての辞書の索引

「井邑」の関連用語

井邑のお隣キーワード
検索ランキング

   

英語⇒日本語
日本語⇒英語
   



井邑のページの著作権
Weblio 辞書 情報提供元は 参加元一覧 にて確認できます。

   
名字見聞録名字見聞録
copyright©1996-2025 SPECTRE all rights reserved.
EDRDGEDRDG
This page uses the JMnedict dictionary files. These files are the property of the Electronic Dictio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Group, and are used in conformance with the Group's licence.
ウィキペディアウィキペディア
All text is available under the terms of th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この記事は、ウィキペディアの井邑市 (改訂履歴)の記事を複製、再配布したものにあたり、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というライセンスの下で提供されています。 Weblio辞書に掲載されているウィキペディアの記事も、全て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の元に提供されております。

©2025 GRAS Group, Inc.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