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백[]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의 외조부.

전설상의 인물로, 수신()으로 알려진다. ‘모두루묘지명()’에는 ‘’으로 되어 있어 한국에서는 음가()를 따라서 ‘해밝’, 즉 ‘태양의 광명’이라는 뜻으로 태양신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광개토대왕비()에 나타나는 하백의 설화는, “시조 추모왕(:)의 뿌리는 원래 북부여()에서 나왔는데, 천제()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하백여랑()이다. 알[]에서 탄생하였는데, 성덕()이 훌륭하였다.”고 하였으며, 《주서()》에 보면, 하백녀[]와 주몽[]을 수호신으로 신묘()에 제사하였다고 한다.

참조항목

참조항목
동명성왕 고구려의 시조(재위 BC 37∼BC 19). 《삼국사기》에 따르면 동부여의 금와왕이 데려온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가 낳은 알에서 나왔다고 한다. 활을 잘 쏘고 영특하여 왕자들이 시기해 죽이려 하자 이를 피해 졸본부여로 남하하여 고구려를 세웠다.
동명왕개국설화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朱蒙)에 관한 설화.
빙이 고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
해모수 북부여(北扶餘)의 시조.
금와왕설화 동부여(東夫餘)의 왕인 금와(金蛙)의 탄생 설화.
금와 고구려 동명성왕 설화에 등장하는 동부여의 왕.
지역 목록
지역 목록 지역 목록 없음
- ⓒ doopedia & doopedia.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트위터 URL 복사

포토커뮤니티

사진 목록
분류 사진 제목 올린이
(사진수)
등록일

여행기

사진 목록
분류 사진 제목 올린이 등록일

지식나누기

두피디아는 수록된 정보가 상업적 목적 등 이용자가 의도한 특정 목적에 적합하다는 점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수록 정보에 포함된 의학, 법률, 세무, 금융 등 전문분야의 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합니다. 두피디아는 정보의 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